Portfolio
///
기독교적 사고, 곧 개인주의적 사고가 확립되면 교회는 교인의 숫자가 많고 적음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다. 도리어 “한 개인이 하나님 앞에 올바로 섰느냐”에 관심을 가진다. 그러면서 개인을 시작으로 전체를 바라본다...전체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고방식은 개인의 존엄성이나 도덕성을 무시하고 항상 효율성을 강조한다. 전체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발전하고 성장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도덕성은 쉽게 간과된다...전체를 중요하게 여기는 자는 항상 전체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맹렬히 시위하며 사회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기독교는 그렇지 않다. 먼저 기독교는 개인의 변화를 통해서 구석구석이 변화되면 결국 전체가 변화된다고 믿는다. 물론 쉐퍼가 말하는 “시민 불복종 운동”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정말 최종적인 상황에서만 고려할 부분일 뿐이다. 이보다 먼저 기독교의 사회변혁은 개인의 변화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기독교적 사고, 곧 개인주의적 사고가 확립되면 교회는 교인의 숫자가 많고 적음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다. 도리어 “한 개인이 하나님 앞에 올바로 섰느냐”에 관심을 가진다. 그러면서 개인을 시작으로 전체를 바라본다...전체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고방식은 개인의 존엄성이나 도덕성을 무시하고 항상 효율성을 강조한다. 전체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발전하고 성장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도덕성은 쉽게 간과된다...전체를 중요하게 여기는 자는 항상 전체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맹렬히 시위하며 사회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기독교는 그렇지 않다. 먼저 기독교는 개인의 변화를 통해서 구석구석이 변화되면 결국 전체가 변화된다고 믿는다. 물론 쉐퍼가 말하는 “시민 불복종 운동”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정말 최종적인 상황에서만 고려할 부분일 뿐이다. 이보다 먼저 기독교의 사회변혁은 개인의 변화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
🔥🔥
책 리스트
페이지
158
분야